728x90
電波妨害 / Radio Jamming
고의적으로 타깃이 되는 주파수에 방해 신호를 보내는 것.
일전에 LG사이언스파크에서 핸즈온 워크샵 진행할 때 핫스팟이 안돼서 당황했었다. 스마트폰 단말에서 셀룰러 데이터 통신은 정상이었다. 그런데 행사장 내부 와이파이에 계속 이슈가 있어서 네트워크 통신이 안되고 있었다. 오전에 업무 볼게 있어서 급하게 테더링 연결을 시도했는데, 몇 번을 시도해도 테더링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
딱히 보안이 굉장히 중요한 회사를 다녀봤던적이 없던지라 이런 기술이 있는 줄도 몰랐다. 근데 생각보다 유서 깊은 기술이었다. 검색해봤더니 wips라는 기술을 사용하는 것 같은데, 생각보다 무엇인가에 대해서 제대로 검색되는 게 없어서 나의 사수인 GPT에게 물어봤다.
네트워크 통신 분야에서 "wips"는 "Wireless Intrusion Prevention System"의 약자입니다. 이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불법적인 접근 및 해킹 등의 보안 위협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무선 네트워크 내에서 이상한 활동을 감지하고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wips"는 무선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중 하나이며, 무선 액세스 포인트(AP) 주변의 무선 클라이언트를 검사하여 네트워크 침입 및 해킹 시도를 탐지하고 차단합니다. 또한 "wips"는 무선 네트워크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무선 클라이언트의 보안을 강화하는 등의 보안 기능도 제공합니다.
우리가 보통 사용하는 wifi의 전파 범위는 2.427GHz~5.1313GHz인데, 우회 방법으로 경우에 따라 USB테더링이나 블루투스 테더링은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있다. 허나 블루투스 테더링은 결국 대역대가 비슷해서 안되는 경우가 많고, USB정도나 가능하다고 한다. 근데 너무 오래전이라 요즘에는 어지간하면 다 막힌다고 한다. 보안과 통신은 언제나 어렵다.
덧으로 내용과 관련하여 최근에 돌아다니는 서버실 괴담으로 이런 이야기가 있다.
728x90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인원도 이해하는 Docker (0) | 2025.03.05 |
---|---|
DevOps를 지망하는 사람들을 위한 안내서 (1) | 2024.01.05 |
[SSO] 회원가입 그만하고싶어! (0) | 2023.05.25 |
NET::ERR_CERT_INVALID ERROR (0) | 2022.12.15 |
[정보처리기사] 디자인 패턴 (0) | 2022.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