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58)
[Python] requests.exceptions.SSLError: HTTPSConnectionPool 파이썬 스크립트를 돌리던중에 만난 에러. SSL 인증서 때문에 나타나는 에러인데, 나같은경우는 스크립트에서 경유하는 모든 서버가 내부망이어서 인증을 모두 검증하지 않으려고 한다. vi /usr/lib/python2.7/site-packages/requests/sessions.py 위치가 조금식 다르지만 나처럼 설치할때 모두 기본값으로 처리했으면 보통 이 위치에있다. self.verify 부분을 True -> False 로 변경하면 에러는 사라진다. 허나 보안적인 측면에서 매우 위험하므로 조심히 사용해야한다.
[VMware] 인스턴스에 네트워크 어댑터 추가 OS : CentOS 7 PC to PC 통신 관련 테스트가 필요한데 물리 서버가 따로 없어서 가상 인스턴스를 통해 구축. - reboot나 network restart를 시켜도 따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스크립트가 생성이 안되는걸 전제 (자동생성 방법을 못찾음) - instance가 이미 생성 및 설정된 상태에서 추가하는것을 전제 1. 해당 인스턴스의 Virtual Machine Settings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추가해준다.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 추가된 인터페이스는 ens33, 허나 스크립트 목록엔 없으므로 ens32를 복사해서 설정 파일을 만들어준다. cp ifcfg-ens32 ifcfg-ens33 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정 NAME,DEVICE 이름 수정하고 UUID를 변경해야한다. ..
[Jenkins] HTTP ERROR 403 No valid crumb was included in the request 해결 방법 젠킨스에서 job이든 뭐든 설정 좀 바꾸거나 스크립트 수정할 때 몇 분만 방치해도 apply 날리는 순간 이런 에러가 뜨면서 다 날아간다. 1년 전에 고치려고 삽질 열심히 해봤는데, 해결을 못했어서 그동안 좀 더 민첩하게 수정하는 삶을 살아왔는데... 도저히 안될 것 같아서 다시 구글링 하며 해결을 했다. 그동안 나도 성장하긴 했나 보다. Jenkins에서 사용되는 crumb(https://www.jenkins.io/doc/book/security/csrf-protection/)가 주요 원인이라는데 아직 정확히 이해는 못했으나, 나와 같은 민첩한 삶을 살아온 분들께 여유를 드리기 위한 목적으로 글을 작성해본다. 1. Strict Crumb Issuer Plugin 설치 1년 전의 잔재인지 설치한 기억이 ..
[Ubuntu] 원격 접속툴 : Remmina OS:Ubuntu 18.04 우분투 뿐만아니라 Debian 기반 OS에서 사용이 가능한 원격 접속 툴이다. 직장 제품이 windows 서버에 지원이 되다보니 windows 테스트를 위해 사용하게된 툴. 윈도우 접속 기준으로 설명하려한다. 먼저 각 서버의 방화벽이랑 원격 제어 허용 해준다. sudo apt install remmina 터미널에서 명령어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간단하게 설치 완료 윈도우는 RDP로 프로토콜 설정해야한다. 외에도 SSH등 여러가지 지원해준다. 서버 아이피와 유저아이디,비밀번호 입력만 하면 간편하게 접속할수있다.
[CentOS6] VM복제(Clone/Copy)시 네트워크 이슈 해결방법(MAC주소) 환경 VMware® Workstation 16 Pro CentOS release 6.8 (Final) CentOS 6.8 서버 클론하다가 알게된 문제. 7이상 버전에서는 자동으로 MAC주소 다시 받아 오는듯 하다. 리모트 서버에 있던 인스턴스(위의 서버)를 로컬 서버로 다운로드 받았다. service network restart자체가 실패하는 상태. 원인은 MAC주소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한다. 문제가 있는 인스턴스에서 Settings > Network Adapter > Advanced... 에서 MAC Address를 확인한다. $sudo rm -rf /etc/udev/rules.d/70-persistent-net.rules 70-persistent-net.rules를 직접 수정해도 된다. reboot하..
포어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 (nohup) 포어그라운드 백그라운드 백그라운드는 평소에 유튜브 프리미엄 홍보에서도 자주 사용된다. 쉽게 설명하면 실행 시켜놓고 내가 다른일을 할 수 있기 위함이다. 포어그라운드는 딱 그 반대 개념으로써, 지금 내가 포커싱 하고있는 프로세스이다. ssh로 접속을 하게되면 세션을 종료할때 접속하면서 실행했던 프로세스들이 왠만하면 같이 종료된다. 챗봇이나, 내 업무에서는 빌드가 n시간 단위로 걸리기 때문에 이를 활용 할 수 있다. 내가 필요했던 이유는, 스트레스 테스트를 위해 며칠 단위로 시뮬레이터를 돌려야하는데 시뮬레이터 서버는 서버대로 돌고 나는 나대로 컴퓨터 리부팅을 해야해서 찾아낸 방법. nohup & 확인은 jobs 명령어를 통해 가능하다. 나같은 경우 시뮬레이터가 무한으로 돌기 때문에 nohup 명령어를 통해 ..
ubuntu에서 유저 추가하기 빌드 서버를 이전하게되면서 공용으로 쓸 계정이 필요해졌다. develop이라는 사용자 계정을 추가해보려고 한다. sudo adduser 나는 root 사용자로 생성해서 sudo가 굳이 필요하진 않았지만, root 계정이 아니라면 sudo를 사용해야한다. 물론 권한이 없으면 명령어가 실행될 수 없다. 비밀번호와 기본정보(선택사항)를 입력하면 간편하게 완료. root 권한이 필요한 계정이라 sudo를 사용할 수 있도록 권한 부여까지 하면 생성 완료.
openstack ubuntu server 키파일 없이 ssh 접속 가능하게 하기 OS : ubuntu 20.04 openstack 에서 인스턴스 구축이후에 ssh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키파일이 필요한데, 내부망에서 여러명이 테스트 용도로 사용해야 하다보니 키파일 배포하는 것도 일이고 매번 키파일로 로그인하는것도 번잡스러워서 키파일 로그인을 푸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물론 이건 테스트 용도고, 내부망이고, 개인 서버라 여러가지 사유에 보안이 필요할 만한 상황이 아니므로 진행 했습니다. 1) root 계정 비밀번호 설정 / 신규 유저 생성 1-1) root 비밀번호 설정 $sudo passwd 1-2) 신규 유저 생성 $sudo adduser $sudo usermod -aG sudo 2) sshd 옵션 변경 $vi /etc/ssh/sshd_config PermitRootLogin..

728x90